보통 Server와 DB를 얘기합니다. 정적인 데이터는 Server에서 Serving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대부분 기계가 하고 있지만 음식점에서 서빙 구합니다
라는 공고를 가끔 볼 수 있습니다. 음식점에서 서빙은 음식을 손님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죠.
이는 서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접속한 사람에게 HTML, CSS, JS와 DATA를 전달하는 역활을 하는 것이 서버입니다. 그리고 DATA를 저장하는 곳에 DB죠.
백엔드에서 하는 일 중 우리는 URL 설계와 DATA 설계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서비스를 만들어볼지 설계도면을 그리는 것이라고 생각해주세요.
/ | 메인 페이지 |
---|---|
/about | 소개 페이지 |
/contact | 연락처 페이지 |
/notice | 게시물 페이지 |
그러면 게시물에 들어갈 데이터는 어떤 데이터가 있을까요? 이 모든 것을 백엔드 개발자 또는 웹 기획자가 해야 합니다.
title | 제목 | O |
---|---|---|
content | 내용 | O |
author | 저자 | O |
categories | 카테고리 | X |
tag | 태그 | X |
image | 이미지 | X |
view_count | 조회수 | X |
created_at | 생성날짜 | X |
updated_at | 수정날짜 | X |
출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ingbbang&logNo=221473198909&from=search&redirect=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
설계가 끝났다면 구현을 해보죠! 서버는 가정용 컴퓨터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가정용 컴퓨터를 24시간 켤 수 없죠. 그래서 클라우드를 사용합니다. 클라우드는 빌려쓰는 것입니다. 여러분 컴퓨터를 대신해 24시간 켜져있는 컴퓨터를 대여해 사용하는 것이죠.
구름IDE 환경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회원가입을 하지 않았다면 오른쪽 상단 회원가입을 클릭하시고, 오른쪽 상단 로그인을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되셨으면 왼쪽 상단에 IDE를 클릭해주세요.
다음은 IDE 대시보드 화면입니다. 새 컨테이너 생성을 누르셔서 컨테이너를 생성해 주세요. 하나의 컨테이너는 하나의 컴퓨터를 세팅하는 것과 같습니다. 새 컨테이너
를 클릭해주세요.